영상 | Posted by 아스라이 2010. 2. 28. 02:39

러블리 본즈 - 이미지와 상징의 보물상자


14살, 나는 살해당했다
라는 문구로 시작되는 스티븐 스필버그 제작피터 잭슨 감독의 영화입니다.
무엇보다도, 두 감독의 이름부터가 절대 범상치 않지요. 그래서인지 두 이름으로 더더욱 홍보가 되었고, 기대를 하게 만들었던 영화입니다.

- 이하 이미지 출처는 구글 이미지입니다. 딱히 스포일러 없습니다.


행복한 가정에서 밝게 자라나던 14살 소녀 수지는 어느 날 꿈속에도 그리던 남자친구의 데이트를 앞두고 기분이 들뜹니다. 그녀는 다정하신 부모님과 정겨운 동생들, 조금 괴팍하지만 이해심 많은 할머니가 있고, 생일선물로 카메라도 받을 정도로 특별히 불행이란 것을 모르고 자라났지요


거기다 그렇게도 혼자 애태우던 잘생긴 남자친구로부터의 데이트라니! 남자친구가 써준 시까지 받아서 수지의 기쁨은 더욱 커집니다.


그러나 바로 그날 하교길에 한 남자에게 살해되고 맙니다.

아무런 이유도 없이...


일순간에 사랑하는 딸을 잃은 부모, 수지를 잃은 가족들은 크나큰 슬픔에 빠지고 맙니다.


그리고 그 시점부터 영화는 가족들이 슬퍼하는 현실속의 세계와, 수지가 차마 떠나지 못하고 가족들을 바라보며 안타까워하는 현실과 천국의 중간 세계를 번갈아 보여줍니다.


처음에 저는 소녀의 억울한 영혼과 아버지가 힘을 합하여 범인을 잡고 소녀의 원한을 푸는... 오늘 뒷풀이에서 한 분이 말하신 대로 '사랑과 영혼 2'인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영화가 중반쯤을 지나면서... 영화의 의도는 범인을 잡아 복수하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고, 다행히 제가 늦지않게 영화가 의도하는 방향을 잡아서인지 그때부터는 영화의 진행이 납득이 되더군요. 

다만... 영화 마지막이 조금 이상했는데, 혹시 스티븐 스필버그와 피터 잭슨이 영화의 결말에 대해 좀 의견충돌을 빚지 않았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스티븐 스필버그가 영화 결말에 입김을 넣는 경우는 AI나 파라노말 액티비티 등 몇 된다고 하죠.

오래 전, 그러니까 1997년이니 지금으로부터 13년 전인가요... 제게는 꽤나 친분이 깊던 대학 선배가 있었는데, 여느 날처럼 밤에 통화를 했지만 그 다음날 영영 만날 수 없는 사람이 되었지요... 정말 안타까웠던 것은 밤에 그 선배가 그렇게 바라던 약속을 해주었는데, 전화를 끊고 바로 반나절 만에 교통사고로 지킬 수 없는 약속이 되고 말았더군요... 이튿날 선배의 영정사진 앞에 절을 할 때는 정말 꿈이라도 꾸는 듯한 기분이었죠... 그날 이후, 주위 사람들을 내일도, 모레도 당연히 볼 수 있을거라는 생각이 많이 고쳐졌습니다. 이별이나 죽음을 매일매일 대비하며 사는 사람이야 없겠지만, 하루하루 후회없이 보내려고 노력할 수는 있겠지요. 

매년 기일이 되면 강원도에 가서 선배가 잠든 곳을 찾아보고, 그 선배의 집에 가서 인사드리고 하루를 보내는 것이 연례행사였는데, 영화에서처럼 차마 하나뿐인 아들이 쓰던 방을 없애지 못하고 그대로 두시던 부모님이셨는데, 처음 한두 해는 그 방에서 잠드는 것이 그렇게도 무서웠는데...

몇년 전, 무덤은 그대로였지만 두 분은 어디론가 이사를 가셨더군요. 저에겐 아무것도 알리지 않으시고 이사를 가셨다는 점에서, 섭섭함보다는 두 분이 마음을 정하셨다는 생각에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화 속에서, 수지가 있는 중간 세계는 온갖 환상적인 모습으로 표현됩니다. 해와 달, 그리고 물 등 수많은 이미지와 상징으로 표현됩니다. 긴 시간 타로를 했던 저로서는, 이 영화를 꼭 보려고 했던 이유가, 상징과 이미지를 보기 위해서였기도 합니다. 

강이님 말씀대로, 이미지라는 것은 시대나 그 사람들의 문화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고(학이나 거북이가 우리나라에서는 장수의 상징이지만 중국이나 북유럽에서는 불길하게 여긴다거나, 다른 나라에서 좋은 이미지인 까마귀가 우리 나라에서는 불길한 이미지인 것처럼), 올바른 이미지와 상징의 해석은 혼자만의 느낌이 아닌 모든 사람이 공감하는 의미이자, 그 이미지를 표현한 시대나 시점 또한 생각해봐야 하겠지요.

영화에서는 많은 상징과 이미지가 나오지만, 영화의 비중 자체가 죽은 뒤의 세계보다는 현실 세계에 비중을 둔 만큼 생각만큼 많이 나오지는 않아 좀 아쉬웠습니다. 영화에 배치된 그 수많은 환상적인 장면들은, 저 혼자서 무슨 듯일까 온갖 상상을 다 해보게 만들었지요. 물론 많은 의견이 있겠지만, 진짜 해답은 영화를 만든 감독을 앉혀놓고 직접 듣지 않는 이상은 그저 추측에 불과하겠지요.

감독은 영화의 이 부분을 보면서 어떤 느낌을 받기를 바라며 이 이미지를 만들었을까요...

영화 속 이미지를 보며 그 위에 한번 제 나름대로 느낌이 통할 거 같은 타로카드를 놓아 봤습니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영화 초반에는 수지가 가족들이 슬퍼하는 것을 보며, 자신을 죽인 범인에게 한없는 증오심을 품는 것을 보며... 저역시 범인은 자신의 죄값으로 죽어 마땅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게다가 어린애들만 골라서 죽였던 연쇄살인마라면 더욱이.


하지만... 이 영화가 다른 원혼의 복수 이야기가 되지 않았던 이유는 수지가 누군가를 한없이 증오하기에는 너무 어린 소녀여서였을까요, 범인에게 살해당한 다른 아이들도... 증오심을 품고 있지는 않습니다. 이렇게도 사후세계를 밝고 따스하게 그린 영화는 정말 처음 보는 거 같았습니다. 더욱이 누군가에게 억울하게 살해된 영혼이 말이지요.

만약 저였다면 어땠을까... 제가 저 세계에 있었다면... 그곳은 극도로 춥고, 어두우며, 살을 에는 듯한 눈보라 속에 모든 원망과 저주와 증오와 분노를 살인자에게 집중시켰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영화속에서처럼 저런 따스한 세계는 나올 수가 없겠죠.

때때로 수지의 세계는 어두워지고, 말라서 부서지고, 흐려서 비가 내리기도 하지만, 수지는 자신이 있는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있었고, 수지와 그녀의 친구 홀리는 천국에 가지 못한 그 사후세계에서도 나날이 따스한 빛을 만들고 싱그러운 초록의 대지 위에서 즐거워하며 밝게 지냅니다.

현실세계와 사후세계... 사후세계의 존재는 현실세계의 그리운 사람들이 못내 안타까워 이야기를 전하려 하고, 현실세계의 존재는 사후세계의 존재를 느꼈을 때만 간간히 그 느낌을 받을 뿐이겠지요. 

수지는 가족들이 그리워 자신의 목소리를 전하고, 아버지와 어린 동생은 수지를 그리워하다 때때로 수지를 느낍니다. 그리고는 더욱 그리워하며 슬퍼하지요. 그런 가족들을 보며 수지는 자신이 가족들에게 말을 걸면 걸수록, 가족들이 자신을 잊지 못하고 더욱 슬퍼한다는 것을 차츰차츰 알아가게 됩니다. 영화가 진행될수록 수지는 가족들에게 점점 목소리를 전하기보다는 그저 바라보기만 할 뿐인데...

현실을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이 되뇌이는 말처럼, 죽은 사람은 죽은 사람이고, 산 사람은 살아야 한다는 말처럼, 이 영화의 감독 역시 죽은 사람이 안타까워도, 언제까지나 죽은 사람을 곁에 두고 슬퍼하기만 해서는 안된다는 생각인 듯 합니다.


이 영화의 주요한 이미지와 상징인 등대, 팔각정, 배, 그리고 물...


현실세계와 사후세계의 두 분위기가 교차되는 것은, 예전에 참 인상깊게 보았던 게임 원작 영화인 사일런트 힐을 떠올리게 하더군요. 사일런트 힐도, 밝은 색채의 현실세계와 회색빛 음영의 사후세계, 그리고 악마가 활동하는 붉은 세계가 교차되며 나왔었지요.

이 영화에 대한 평가는 그다지 좋다고는 볼 수 없지만(아무래도 두 거장이 만든 만큼 기대치를 너무 높인 거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말이죠...) 한 분이 댓글 달아주신 것처럼 이 영화는 자칫 잘못하면 지루해지기 쉬운 내용이었습니다. 그나마 감독의 구성으로, 슬픔과, 몽환적인 느낌과, 범인과의 심리적인 추격전을 느낄 수 있었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간만에 재미있게 보았던 영화였네요. 이제 다음주면 팀버튼 감독에 조니 뎁 주연인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개봉하겠네요. 기대가 많이 됩니다.